디지털트윈 이야기 18부 – 역사와 미래

디지털트윈 이야기 18부 – 역사와 미래

18

역사를 잘 알면 혁신할 수 있을까? 역사(歷史)는 인류 사회와 자연과 관련된 ‘과거의 사실’과 ‘기록된 사실’이다.

‘기록된 과거의 사실’은 역사가가 주관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객관적으로 기록하려고 하더라도 기록한 사람의 인지(認知)를 벗어 날 수 없고 주관적 해석이 들어갈 수 밖에 없다. 인간은 누구나 인지편향이 있다. 역사가들이 과거의 사실을 있는 그대로 밝히려고 많은 노력을 하지만 그 또한 인지편향적일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를 공부하면 과거의 세계를 만날 수 있고 과거를 경험삼아 현재를 살아가는 지혜를 구할 수 있다. 역사를 제대로 알고 지혜를 구할 수 있다면 현재를 잘 살 수 있고 미래를 볼 수 있다. 어떻게 지혜를 구할 수 있을까?

GIGO(Garbage In Garbage Out), 쓰레기가 들어가면 쓰레기가 나온다. 과거 사실이 잘못 기록되거나 잘못 알게되면 잘못될 수 있다. 그래서 기록만을 볼게 아니라 기록을 통해 상관관계를 넘어 인과관계를 이해하는 통찰(洞察)이 필요하다. 통찰은 과거에 없었던 새로운 상황에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리를 아는 것이다. 

현재 어떤 마음과 생각을 가지고 어떻게 행동하는가에 따라 미래가 달라진다.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미래를 설계하고 만들어 가는 것”이라는 말에 격하게 공감한다. 

설계(design)하려면 요구사항(requirements)이 있어야 한다. 요구사항은 개념(concepts)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하고, 개념은 인간의 필요(needs)에 의해 만들어 진다. 인간의 필요가 개념을 만들고, 개념을 실현하기 위한 요구사항이 만들어져야 미래를 설계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로 들어서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가 ‘디지털 혁신’이다. 디지털 전환(transformation)을 통해 미래를 선도할 수 있도록 새롭게 설계하여 혁신하자는 것이다.

‘혁신(革新, innovation)’은 ‘묵은 풍속, 관습, 조직, 방법 따위를 완전히 바꾸어서 새롭게 함’이다. 혁신은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혁신의 시작은 문제 인식과 새로운 필요에서 부터 시작된다.

왜, 무엇을 혁신하고자 하는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 19부에서 이어집니다 –

원문 보러가기 →

Leave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