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2022년 10월 24일 2023-05-01 21:54보도자료
뉴스
세계 속의
KDT
[AI 토크콘서트]"당장 AI윤리 가르칠 사람 없어…컴퓨팅 사고력 키우는 교육 필요"
작성자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
작성일
2023-06-21 13:51
조회
1948
‘2023 대한민국 AI 토크콘서트’에서는 인공지능(AI) 교육과 인재 양성을 위해 정부가 보다 파격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서정연 서강대 명예교수(LG AI연구원 인재양성위원장)는 “학생들에게 기본적으로 컴퓨팅 사고를 가르쳐야 한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이를 위한 인력 지원인데 교육부 대처는 느리기만 하다”고 지적했다. 김진숙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수석연구위원은 “주 1회 관련 교육 시수를 늘리는 것으로는 컴퓨팅 사고력을 키울 수 없다”고 강조했다. 현재 미국·중국 등에 비해 AI 수준과 소프트웨어 파워 측면에서 크게 뒤처진 만큼 정부가 보다 과감하게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이동희 국민대 경영학부 교수는 “챗GPT는 자료를 찾거나 초안 보고서를 쓸 때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도 “학생들에게 어떻게 질문하게 가르칠지 고민”이라고 토로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우리나라가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가 세상을 지배하는데도 네이버와 아래아한글이 살아남은 저력이 있듯이 우리만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호수 전 SK텔레콤 ICT 총괄사장은 “우리 기업들이 초거대 AI를 만들기가 쉽지 않다”며 “어떻게 해야 장기적으로 비즈니스를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KAIST 연구소기업인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의 양영진 대표는 “우리가 초거대 AI를 이기려면 똑같은 방식으로는 어렵다”며 “다윗이 골리앗을 이겼듯이 차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BAS(Big data, Ai, Simulation)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 모델링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개발해 복잡한 사회·산업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다”며 자사 기술을 소개했다. 황준호 스마트건설교류회장은 “편리하면서도 윤리까지 감안한 스마트시티 모델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인간과 기계와의 공존을 위한 인문학적 접근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많았다.
이선옥 미국 국립기록관리청 아카이브리서처는 “챗GPT가 인간에 대한 위기감을 촉발했는데 인간이 기계와 공존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흡영 강남대 명예교수는 “신학자이자 종교인으로서 챗GPT와 대화했는데 유교나 도에 관해 할 수 있겠냐고 하니 도덕의 개념을 아는 엔지니어가 먼저라고 하더라”고 전했다.
김준호 인텔코리아 전무는 “인텔이 중요하게 보는 문제가 디지털 격차인데 당장 AI 윤리를 가르쳐야 한다고는 하지만 정작 가르칠 사람이 없다”며 “MS나 아마존 등에서는 관련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고 있는데 한국도 컴퓨팅 사고가 담긴 교육 콘텐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손동영 서울경제신문 대표는 이날 개회사에서 “빅데이터·AI 역량을 높여 변화에 대비하고 효과적인 국가 전략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손 대표는 “생성형 AI가 소설도 쓰고 작곡하는 시대를 넘어 산업혁명이 그랬듯 차후 수많은 직업들까지 대체할 것”이라며 “우리도 미국처럼 국가 차원의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원본 보러가기 →
이동희 국민대 경영학부 교수는 “챗GPT는 자료를 찾거나 초안 보고서를 쓸 때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도 “학생들에게 어떻게 질문하게 가르칠지 고민”이라고 토로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우리나라가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가 세상을 지배하는데도 네이버와 아래아한글이 살아남은 저력이 있듯이 우리만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호수 전 SK텔레콤 ICT 총괄사장은 “우리 기업들이 초거대 AI를 만들기가 쉽지 않다”며 “어떻게 해야 장기적으로 비즈니스를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KAIST 연구소기업인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의 양영진 대표는 “우리가 초거대 AI를 이기려면 똑같은 방식으로는 어렵다”며 “다윗이 골리앗을 이겼듯이 차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BAS(Big data, Ai, Simulation)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 모델링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개발해 복잡한 사회·산업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다”며 자사 기술을 소개했다. 황준호 스마트건설교류회장은 “편리하면서도 윤리까지 감안한 스마트시티 모델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인간과 기계와의 공존을 위한 인문학적 접근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많았다.
이선옥 미국 국립기록관리청 아카이브리서처는 “챗GPT가 인간에 대한 위기감을 촉발했는데 인간이 기계와 공존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흡영 강남대 명예교수는 “신학자이자 종교인으로서 챗GPT와 대화했는데 유교나 도에 관해 할 수 있겠냐고 하니 도덕의 개념을 아는 엔지니어가 먼저라고 하더라”고 전했다.
김준호 인텔코리아 전무는 “인텔이 중요하게 보는 문제가 디지털 격차인데 당장 AI 윤리를 가르쳐야 한다고는 하지만 정작 가르칠 사람이 없다”며 “MS나 아마존 등에서는 관련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고 있는데 한국도 컴퓨팅 사고가 담긴 교육 콘텐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손동영 서울경제신문 대표는 이날 개회사에서 “빅데이터·AI 역량을 높여 변화에 대비하고 효과적인 국가 전략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손 대표는 “생성형 AI가 소설도 쓰고 작곡하는 시대를 넘어 산업혁명이 그랬듯 차후 수많은 직업들까지 대체할 것”이라며 “우리도 미국처럼 국가 차원의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원본 보러가기 →